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로 인상된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화가 확정되며,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지원 기준이 모두 조정되어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복지로 모의계산으로 신청가능한 정부지원금을 계산해 보세요.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49만 4,738원으로, 2025년 대비 6.51% 인상되었습니다.
1인 가구는 256만 4,238원으로 7.20% 상승해 역대 최대 인상폭을 기록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선정기준 산정에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생계급여 선정기준 변화
2026년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32%로, 4인 가구 기준 207만 8,316원입니다.
가구원 수 | 2025년 | 2026년 | 증감액 |
1인 | 76만 5,444원 | 82만 556원 | +5만 5,000원 |
4인 | 195만 1,287원 | 207만 8,316원 | +12만 7,000원 |
이번 인상으로 더 많은 저소득층이 지원 대상에 포함되며, 특히 청년·노령층 지원 확대가 주목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인정액 차감 후 1인 가구는 월 82만 원, 4인 가구는 월 207만 원 이상을 지원받게 됩니다
의료급여 지원 기준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를 적용하며, 4인 가구 기준 259만 7,895원입니다.
외래진료 본인부담금, 입원비, 약국 이용 시 부담률은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다만, 연간 외래진료 365회 초과 시 30% 본인부담률이 적용되며, 의료 과소비 방지가 목적입니다.
주거급여 기준임대료 인상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8%를 적용하며, 4인 가구 기준 311만 7,474원입니다.
2026년 임차가구 기준 임대료는 지역·가구원 수별로 1.7만~3.9만 원 인상되었습니다. 서울 4인 가구 기준 월 57만 1,000원이 지원되며, 주거안정성 강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교육급여 지원 확대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50%를 적용하며, 4인 가구 기준 324만 7,369원입니다.
2026년 교육활동지원비는 초등 50만 2,000원, 중등 69만 9,000원, 고등 86만 원으로 평균 6% 인상되었습니다.
무상교육 제외 고등학교 재학생은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를 실비로 지원받습니다.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
청년 근로소득 공제 적용 대상이 29세 이하에서 34세 이하로 확대됩니다.
추가 공제액도 4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인상되어, 청년층의 자립을 적극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월 100만 원을 버는 30세 청년은 소득인정액이 크게 줄어 생계급여 수급액이 6만 원에서 약 54만 원으로 증가합니다.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자동차재산 일반재산환산율 적용 범위가 확대됩니다.
승합·화물자동차와 다자녀 가구 기준이 완화되어, 소형 승합·화물차(500만 원 미만)와 자녀 2인 이상 가구도 완화된 기준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탈락했던 가구들이 새롭게 수급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효과
이번 2026년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으로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 급여별 지원 확대, 청년 및 다자녀 가구 지원 강화 등 종합적 변화가 저소득층 생활 안정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Q&A
Q1.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기준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됩니다.
Q2.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적용한 금액으로, 가구 소득이 이 기준 이하일 때 지원 대상이 됩니다.
Q3.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는 누구에게 해당되나요?
2026년부터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 대상이며, 추가 공제액이 6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Q4.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의 효과는?
완화된 기준 덕분에 기존에 자동차 가치 때문에 탈락했던 가구도 수급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Q5. 주거급여 지원액은 어떻게 변하나요?
지역·가구원 수에 따라 1.7만~3.9만 원 인상되며, 서울 4인 가구 기준 월 57만 1,000원이 지원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기준 변경은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등 제도 개선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더 많은 국민이 기초생활보장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better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200만원 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연 공모전 총정리 (0) | 2025.08.04 |
---|---|
2025 국가건강검진 조회 및 예약 꿀팁과 항목 안내 (0) | 2025.07.27 |
경력단절 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 재취업 지원 사이트, 인재채움뱅크 (0) | 2025.07.26 |
모르면 손해! 수해 피해 가계·사업자 금융지원 방법 완전 정리 (0) | 2025.07.22 |
장기연체자·소상공인 새출발 기회! 채무조정·지원제도 확인하고 새출발기금 신청하기 (0) | 2025.06.27 |